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ratt vs SVA 뉴욕 예술대학원 유학 비교 – 대학원 입시 전략 완전 해부

by future7 2025. 4. 25.
반응형

Pratt vs SVA 뉴욕 예술대학원 유학 비교

뉴욕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하는 도시입니다. 그만큼 이곳에는 세계적인 아트스쿨들이 밀집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대학원이 바로 **Pratt Institute(프랫 인스티튜트)**와 **School of Visual Arts(SVA)**입니다. 두 학교 모두 글로벌한 인지도를 갖춘 예술대학원이지만, 입학 시 요구하는 포트폴리오 스타일, 평가 방식, 전공 구조는 분명히 다릅니다. 이 Pratt와 SVA의 대학원 입시 전략, 포트폴리오 구성, 전공 특화 요소, 실전 면접 팁까지 완벽히 비교 분석하여, 어떤 학교가 나의 진로와 스타일에 더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1. Pratt와 SVA 대학원 개요 비교

항목 Pratt Institute SVA (School of Visual Arts)
위치 뉴욕 브루클린 뉴욕 맨해튼
설립연도 1887년 1947년
특징 실용성 + 학문성 중심 현업 중심 + 창의 산업 연계
대표 전공 UX,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건축, 산업디자인 브랜딩, 일러스트, 모션그래픽, 뉴미디어
교수진 아카데미/이론+현업 균형형 90% 이상 실무 현업자 교수진
학위 과정 MFA, MS, M.Arch 등 MFA, MPS (Professional Studies) 등

Pratt은 이론과 실용을 동시에 강조하며
SVA는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실전 능력" 중심의 실무 교육 모델입니다.


2. 포트폴리오 평가 방식 및 구성 전략

항목 Pratt SVA
제출 방식 SlideRoom SlideRoom
제출 수 10~20개 작품 10~15개 작품
설명 필수 여부 필수 (제목 + 목적 + 과정 등) 필수 (콘셉트 + 기술 + 제작 스토리)
선호 스타일 사용자 기반 문제 해결, 구조적 사고 감각적 + 실무 적용 가능 작업
리서치 반영 리서치 강조, 프로세스 포함 필수 간결한 리서치, 프로덕션 중심
협업 경험 반영 팀 프로젝트, 프로토타입 포함 선호 제작 실무 경험, 개인 작업도 강조
포맷 추천 PDF + 링크, 깔끔한 정리 강조 PDF or 영상, 감각적 비주얼 강조

Pratt은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문제 해결 중심 포트폴리오에 유리
SVA는 실전 감각, 콘셉트 실현 가능성 중심의 포트폴리오에 적합


3. 전공별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비교

✅ UX/UI 디자인

항목 Pratt SVA
중점 요소 사용자 리서치, 페르소나, 와이어프레임 사용자 중심 설계 + 인터랙션 중심 프로토타입
Figma, Adobe XD, Miro 등 Figma, ProtoPie, Principle 등
추천 콘텐츠 기능 중심 설계 + 테스트 결과 포함 인터페이스 시뮬레이션 + 디자인 시스템

SVA는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UX 산출물'을 더 중요시하며,
Pratt은 '디자인 과정과 문제 해결 논리'를 더 중시합니다.


✅ Motion Graphics / Digital Arts

항목 Pratt SVA
스타일 아트적 메시지 + 인터랙션 중심 트렌디한 모션 연출 + 툴 활용 능력
After Effects, TouchDesigner, Unity Cinema 4D, AE, Blender, Unreal
작품 방향 주제 기반 + 내러티브 구조 광고/브랜딩 중심 모션 포트폴리오

SVA는 실제 광고나 캠페인에 적용 가능한 작업을 더 높이 평가하고,
Pratt은 실험적이고 예술적인 디지털 표현을 선호합니다.


✅ Illustration (일러스트레이션)

항목 Pratt SVA
스타일 에디토리얼 + 컨셉 기반 광고, 만화, 애니메이션까지 확장된 일러스트
선호 포맷 시리즈 작업 + 설명 포함 스토리 중심 연작 + 포스터, 캐릭터 등
면접 관점 감정 전달력 + 테마 해석력 실무 연계성 + 스타일 완성도 강조

SVA는 마켓 중심 스타일을,
Pratt은 철학적·문학적 해석을 담은 작업을 높이 평가합니다.


4. 면접 방식 및 평가 포인트

항목 Pratt SVA
면접 방식 Zoom 인터뷰 (20~30분) Zoom 또는 영상 인터뷰, 일부는 포트폴리오 영상 제출만
질문 스타일 작업 과정 중심 질문, 사용성, 목표 감각과 콘셉트 중심, 현장 적용성 질문
예시 질문 “이 프로젝트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 했나요?” “이 작업이 어떤 산업에 연결될 수 있을까요?”
평가 요소 사고력 + 설계 능력 감각 + 실행력 + 트렌드 반영

Pratt은 교육적 잠재력과 창의 설계 논리를 보고,
SVA는 당장 현업에서 쓰일 수 있는 ‘전문성’에 초점을 둡니다.


5. 실제 지원자 사례 비교

이름 (가명) 전공 합격  학교 전략 요약
김하은 MFA UX Design Pratt 사용자 리서치 중심 포트폴리오 + 논리적 흐름 강조
이지민 MPS Branding SVA 실무 중심 브랜드 아이덴티티 + 감각적 연출
박준영 MFA Motion Graphics SVA 트렌디한 영상 컷 + AE+Cinema 4D 실무 포트폴리오
송유진 MFA Illustration Pratt 시리즈 기반 일러스트 + 사회 이슈 주제 설정

6. 전략 요약 정리

비교  항목 Pratt     SVA
포트폴리오 핵심 문제 해결 중심, 설계적 사고 감각 중심, 현업 적용 가능성
교수진 특성 학문+실무 혼합 현업 중심 90%
면접 중심 리서치 + 결과 논리 콘셉트 + 감각 + 실현 가능성
전공 특화 UX, 산업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브랜딩, 일러스트, 모션그래픽
추천 학생 타입 사고 중심, 사회적 주제 관심 실무형 크리에이터, 상업성과 감각 중요

결론: '논리'냐 '감각'이냐 – 나에게 맞는 입시 전략을 선택하라

PrattSVA는 모두 뉴욕을 대표하는 예술대학원이지만, 포트폴리오 구성 방식, 교수진이 보는 시선, 전공별 평가 기준은 다릅니다.

  • Pratt은 리서치, 논리, 문제 해결형 포트폴리오를 선호합니다.
  • SVA는 감각, 트렌드, 실행 중심 포트폴리오를 선호합니다.

지원자는 자신의 작업이 어떤 시각 언어에 더 잘 어울리는지, 또 어떤 학교가 자신의 진로 방향에 더 맞는지 명확히 판단한 후
그에 맞는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반응형